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hread safety
- JPA 장점
- docker
- heap
- 데이터베이스
- 권장 PK 전략
- 트랜잭션
- 싱글톤 동시성
- java
- Container
- 로드밸런서
- 컨테이너
- load balancer
- Database
- ArrayList 길이 확장
- github
- 멀티스레드 싱글톤
- 스키마 자동 생성
- postgres
- index
- 도커
- transaction
- 자바 동시성
- JPA란
- acid
- ArrayList 소스코드
- JPA
- PostgreSQL
- ArrayList 가변
- create-drop
- Today
- Total
JS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Thread Safe 하게 Singleton Pattern 사용하기 본문
일반적으로 단일 스레드 환경에서 Singleton Pattern을 사용할 때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다중 스레드를 이용한다는 부분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이 있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싱글톤 패턴이 무엇인지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싱글톤 패턴 사용 시 thread safety를 보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기법들에 대해 소개합니다.
Singleton Pattern 이란?
GoF Design Patterns 중 하나로 같은 생성자가 여러번 호출되더라도 최초 생성자 호출 시 생성되는 하나의 동일한 인스턴스가 반복적으로 반환되는 패턴입니다.
사용할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최초 한번 메모리에 할당된 뒤 매번 똑같은 역할을 하는 인스턴스를 여러개 만드는 것이 아닌 동일한 인스턴스를 사용하게 해서 메모리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싱글톤 패턴 구현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myInstance = null;
private Singleton()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if (myInstance == null) {
myInstance = new Singleton();
}
return myInstance;
}
}
Singleton 클래스의 생성자를 private으로 선언하여 접근이 불가능하게 하고 Singleton 클래스에 해당 instance를 반환하는 static 메소드를 두고 사용합니다.
보통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는 아래와 같이 new 키워드를 사용해서 새로운 instance를 생성합니다.
Singleton mySingleton = new Singleton();
싱글톤 패턴을 적용하면 생성자를 사용해서 매번 새로운 instance를 만들지 않고, 이미 만들어진 인스턴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생성 혹은 반환하는 static 메소드를 활용하여 호출하게 됩니다.
Singleton mySingleton = Singleton.getInstance();
멀티쓰레드 환경에서 Singleton Pattern의 문제점
Singleton 패턴을 싱글 스레드 환경에서 사용할 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동시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러 개의 쓰레드가 동시에 getInstance()
메소드에 접근한다고 할 때 여러 개의 인스턴스가 만들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 객체를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싱글톤 패턴을 적용했는데, 여러 개가 생겨버린다면 굉장히 비효율적이겠죠?
해결방법
멀티쓰레드 환경에서 Singleton Pattern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물론 모든 해결방법에는 trade-off가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장단점을 잘 파악하고 효율적인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알맞은 해결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1. synchronized 메소드 선언
떠올리기 가장 쉬운 방법으로 synchronized
키워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myInstance = null;
private Singleton() {}
public static synchronized Singleton getInstance() {
if (myInstance == null) {
myInstance = new Singleton();
}
return myInstance;
}
}
synchronized
키워드를 사용하여 getInstance()
메소드를 동기화해주면, 최초로 접근한 쓰레드가 해당 메소드 호출을 종료할 때까지 다른 쓰레드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lock을 걸어줍니다.
여러 개의 쓰레드가 동시 접근하면서 생길 수 있는 문제는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getInstance()
메소드를 호출할 때마다 lock이 걸려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최초 instance 생성 시 여러개의 instance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자 동기화를 해줬는데, instance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이후에도 getInstance()
메소드를 호출할 때마다 lock을 걸어주는 건 불필요하겠죠?
제 역할은 잘 수행하지만 오버헤드가 굉장히 커서 권장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2. DCL(Double Checked Locking) 방식
DCL 방식에서 Double Checked는 재확인한다는 의미에서 사용되었는데요,
위의 synchronized
메소드를 선언해서 동기화하는 방식처럼 호출할 때마다 불필요하게 lock을 거는 방식이 아니라, 생성된 인스턴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만 lock을 걸어 인스턴스 생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myInstance = null;
private Singleton()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if (myInstance == null) {
synchronized (Singleton.class) {
if (myInstance == null) {
myInstance = new Singleton();
}
}
}
return myInstance;
}
}
이렇게 되면 최초 인스턴스 생성이 필요할때는 lock을 이용해 thread safe 하게 인스턴스를 생성한 뒤 할당하고, 그 이후 해당 인스턴스 접근 시 불필요하게 lock을 걸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깔끔해 보이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thread A와 B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thread A가 최초 getInstance()
메소드에 접근하여 myInstance
가 null
인 것을 확인하고 myInstance
에 새로운 Singleton
객체를 생성해주러 synchronized
블록에 진입합니다.
myInstance
는 비어있기 때문에 myInstance = new Singleton();
을 실행합니다.
바로 여기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바 메모리 모델은 기본적으로 부분적으로 초기화된 객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합니다.
myInstance = new Singleton();
를 처리할 때 myInstance
라는 공간을 먼저 할당한 뒤 아직 새로운 Singleton
객체의 레퍼런스를 미리 할당해둔 myInstance
에 할당하지 않은 상태일 때 myInstance
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낮은 확률로 thread B가 getInstance()
메소드에 접근했을 때 myInstance
가 null
이 아니게 되어 Singleton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넘어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는 컴파일러가 명령어의 의미가 그대로 유지되는 한 성능상의 이유로 프로그램의 명령어 순서를 변경하는 reordering 때문에 발생합니다.
다양한 순서 정렬을 통한 최적화가 모두 허용되기 때문에, 멀티쓰레드 환경에서는 특정 쓰레드가 실행 순서를 일부 변경하거나 레지스터에 변수를 임시로 저장한 뒤 나중에 할당을 할 때, 다른 쓰레드에서는 이 사실을 알 수가 없다는 뜻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보자면,
각 쓰레드는 성능상의 이유로 메인 메모리에서 CPU 캐시로 변수를 복사해서 사용하곤 합니다.
만약 컴퓨터에 CPU가 두 개 이상 있다면 각 쓰레드가 각각 다른 CPU에서 실행될 수도 있게 되는 것이고, 각 쓰레드는 다른 CPU의 CPU 캐시에 변수를 복사해서 사용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즉, thread A가 myInstance
에 어떤 값을 할당하거나 수정할 때, CPU 캐시에 먼저 쓰고 나중에 최종적으로 JVM의 메인 메모리에 flush 하게 될 텐데,
CPU 캐시에 대한 작업을 마무리했다고 하더라도 메인 메모리에서의 값을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thread B가 읽어 들이는 myInstance
의 값이 불일치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하나의 쓰레드가 업데이트한 값을 다른 쓰레드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이 문제를 visibility 문제라고 합니다.
3. DCL 방식에 volatile 키워드 사용
위의 DCL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volatile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lass Singleton {
private volatile static Singleton myInstance = null;
private Singleton()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if (myInstance == null) {
synchronized (Singleton.class) {
if (myInstance == null) {
myInstance = new Singleton();
}
}
}
return myInstance;
}
}
volatile
키워드를 myInstance
선언문에 붙여서 사용하게 되면, myInstance
에 값을 할당하거나 수정할 때 메인 메모리에 바로 쓰게 됩니다.
myInstance
의 값을 읽어 들이는 경우에도 CPU 캐시를 거치지 않고 메인 메모리로부터 읽어 들이게끔 강제함으로써 위에서 언급한 visibility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죠.
volatile
키워드에 대해서는 다음에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니 해당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
4. static 초기화
위에서 소개한 세 가지 방법은 전부 런타임 시 필요한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이번에 소개드릴 static 초기화 방식은 런타임 시가 아닌 최초 JVM이 Class Loader를 이용해서 class path 내에 있는 모든 클래스들을 로드할 때 미리 인스턴스를 생성해주는 방법입니다.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myInstance = new Singleton();
private Singleton()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myInstance;
}
}
이 방법의 장점으로는 클래스를 로드하면서 인스턴스가 생성되기 때문에 런타임 시 동시성을 제어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synchronized
키워드와 volatile
키워드를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위의 해결 방법들의 문제점들을 전부 해결해주는 아주 좋은 방법처럼 보이지만 여기에도 물론 단점은 존재합니다.
해당 클래스를 약 300초 뒤에 사용한다고 했을 때 이 static 초기화 방식을 사용하면 300초 뒤에 사용하나 3초 뒤에 사용하나 무조건 최초 클래스가 로딩될 때 만들어지기 때문에 아직 필요하지 않은 시점에도 불필요하게 메모리 자원을 선점하고 있게 됩니다.
심지어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는데 그런 경우 불필요한 자원 낭비가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렇게 객체 하나 만들어두는 게 그렇게 큰 자원낭비인가 싶을 수 있겠지만, 이런 것들을 파악해서 optimize 할 수 있는 능력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5. LazyHolder 방식
LazyHolder 방식은 Class Loader에 약간의 트릭을 줘서 위의 static 초기화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법입니다.
class Singleton {
private Singleton()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LazyHolder.INSTANCE;
}
private static class LazyHolder {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 INSTANCE = new Singleton();
}
}
위와 같이 LazyHolder
라는 Inner Class를 선언해서 사용함으로써,
Singleton
클래스가 최초 클래스 로딩 단계에서 로드가 되더라도 LazyHolder
클래스에 대한 변수를 가지고 있지 않아 함께 초기화되지 않는 점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getInstance()
가 호출될 때 LazyHolder
클래스가 로딩되며 인스턴스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죠.
클래스를 로드하고 초기화하는 단계에서는 thread safety가 보장되기 때문에 별도의 synchronized
, volatile
키워드 없이도 동시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주 훌륭한 방법입니다.
6. ENUM 방식
마지막으로 소개할 방식은 Enum을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public enum Singleton {
INSTANCE;
}
Enum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는 기본적으로 thread safety가 보장된다는 점을 이용한 기법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어떤 방식보다 선언문이 간단하다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스턴스 생성 부분 외 부분에 대한 thread safety를 보장하려면 개발자가 직접 구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는 방법입니다.
사실 이 방식은 이렇게도 할 수 있다 정도로만 이해하고 넘어갔으며,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그렇게 권장하는 방법은 아니라고 합니다.
이렇게 멀티쓰레드 환경에서 Singleton Pattern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는 여러 가지 기법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던 대로 이런 다양한 기법들에는 trade-off가 존재합니다.
이런 trade-off를 이해하고 주어진 상황에 알맞은 해결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개발자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는 다짐을 마지막으로 작성을 마칩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의 동시성 #1] Threads (생성, 사용, sleep, interrupt, join) (0) | 2022.05.25 |
---|---|
JDK 버전 별 ArrayList 길이 가변 확장 방법 차이 (0) | 2022.05.20 |
객체의 불변성(Immutability)은 왜 중요할까? Java에서 객체를 Immutable하게 쓰는 방법은? (0) | 2022.04.27 |
JVM: Runtime Data Area (0) | 202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