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로드밸런서
- load balancer
- ArrayList 길이 확장
- 자바 동시성
- 트랜잭션
- ArrayList 소스코드
- transaction
- docker
- 도커
- Container
- JPA
- 권장 PK 전략
- thread safety
- heap
- github
- 컨테이너
- create-drop
- Database
- 멀티스레드 싱글톤
- 스키마 자동 생성
- JPA 장점
- java
- PostgreSQL
- 데이터베이스
- postgres
- acid
- JPA란
- index
- 싱글톤 동시성
- ArrayList 가변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JPA 장점 (1)
JS
[JPA #1] JPA란? JPA를 왜 사용할까? JPA 장점은?
JPA란 Java Persistence API의 줄임말로 Java 표준 ORM 입니다. ORM (Object-relational mapping) 이란, 객체는 객체대로 객체지향스럽게 설계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대로 설계해서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핑해주는 도구입니다. JPA는 Java 애플리케이션과 JDBC 사이에서 동작하며, 개발자가 직접 JDBC API를 사용하지 않아도 JPA가 데이터베이스로의 SQL문을 호출하고 결과를 객체로 매핑해줍니다. JPA는 구현체가 아닌 인터페이스의 모음으로 JPA 2.1 표준 명세를 구현한 3가지 구현체가 (Hibernate, EclipseLink, DataNucleus) 존재하며 그중 대표적으로 Hibernate를 대부분 사용합니다. ..
JPA
2022. 10. 27. 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