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싱글톤 동시성
- acid
- 스키마 자동 생성
- thread safety
- JPA 장점
- postgres
- 트랜잭션
- 데이터베이스
- ArrayList 길이 확장
- java
- ArrayList 소스코드
- github
- docker
- 도커
- ArrayList 가변
- load balancer
- 로드밸런서
- transaction
- 권장 PK 전략
- 자바 동시성
- 컨테이너
- JPA
- 멀티스레드 싱글톤
- index
- JPA란
- Container
- PostgreSQL
- create-drop
- heap
- Databas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런타임 데이터 영역 (1)
JS

Java Virtual Machine(JVM) 구조는 크게 Class Loader, Runtime Data Area, Execution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여기서는 메모리 영역인 Runtime Data Area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Runtime Data Area Runtime Data Area란, JVM이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OS로부터 할당받은 메모리 영역입니다. 이 메모리 공간은 5가지 영역으로 쪼개어져 있으며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JVM 시작시 생성되며 JVM 종료 시 소멸되는 영역들로는 Method Area와 Heap이 있으며, 모든 쓰레드 간 자원이 공유됩니다. 각 쓰레드가 생성될 때 생성되고 해당 쓰레드가 종료될 때 소멸되는 영역들에는 Stack, PC Regi..
Java
2022. 4. 26. 11:26